도입

동시성 제어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무결성과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글은 Redis와 Rediss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분산 환경에서 발생하는 동시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글에서는 사내에서 발생했던 동시성 문제와 비슷한 상황을 예시 코드로 재현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론적 배경

  1. 동시성 제어와 분산 락의 중요성
    • 동시성 이슈는 분산 환경에서 동일한 데이터에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할 때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락(lock) 메커니즘이 널리 사용된다.
    • 일반적인 락(mutex lock, spin lock 등)은 단일 시스템 내에서만 작동하며, 분산 락은 여러 시스템 간의 경쟁 상태를 관리한다.
      • 단일 시스템의 예로는 하나의 WAS(Tomcat)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이 환경에서는 스레드 간의 동기화가 주로 필요하다.
      • 여러 시스템의 예로는 여러 개의 WAS(Tomcat) 인스턴스가 로드 밸런서를 통해 분산 처리하는 환경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버 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분산 락이 필요하다.
  1. Redis와 Redisson
    • Redis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 높은 처리 속도와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한다. 이를 활용한 분산 락 구현은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를 제공한다.
    • Redisson은 Redi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분산 락을 포함한 다양한 동시성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연구방법

1. 문제 정의

  • 챗봇 대화 서비스를 운영중이었고, 유저가 챗봇과 대화 시 대화에 필요한 서비스 내 재화가 소모 되는 방식이었다.
  • 서버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 메시지큐를 이용해 채팅 서버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답장 서버에서 답장을 메시지큐를 통해 다시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조였다.
    • 답장 서버는 8대가 운영 중이었고, 유저는 동시에 여러 챗봇과 대화가 가능했다.
    • 메시지큐에 동일한 유저가 여러 챗봇과의 대화를 진행하며 생성된 메시지가 각각 저장되고, 여러 서버에서 이러한 메시지를 동시에 처리하면서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여, 유저가 소비해야 하는 재화가 올바르게 차감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다.
    • 이를 재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2. 실험 설계

  • 문제를 재현하기 위해 아래 코드를 작성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onsumeResource(int userId) {
    Optional<User> userOpt = resourceRepository.findById(userId);
    try {
    Thread.sleep(100); // 로직 수행에 100ms가 걸린다고 가정하고, 100ms 지연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ead.currentThread().interrupt();
    }

    User user = userOpt.get();
    user.consumeResource(1);

    resourceRepository.save(user);
    log.info("User {} 자원 1 사용, 남은 자원: {}", userId, user.getRemainingResources());
    return ResponseEntity.ok("자원 소비. 남은 자원: " + user.getRemainingResources());
    }
    • 자원 소비 중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확인하기 위한 예시 코드로, 여러 스레드에서 동일한 유저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경우 재화가 예상보다 적게 차감되는 동작을 확인하였다.
    • 이 코드는 단일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코드로, 분산 락이 아닌 일반적인 락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실제 문제와 동일하게 여러 스레드나 서버가 하나의 자원에 동시 접근하는 상황을 재현할 수 있으므로, 실험 결과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2.1. 실험 결과

  • wrk를 사용하여 동일 자원에 대해 다수의 요청을 보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 테스트에 사용된 lua 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요청 수 제한
    local max_requests = 10 -- 요청 수 제한
    local request_count = 0 -- 현재 요청 수

    request = function()
    if request_count >= max_requests then
    wrk.thread:stop() -- 요청 제한에 도달하면 쓰레드 중지
    end

    request_count = request_count + 1
    local user_id = 1
    local path = "/resources/" .. user_id .. "/consume"
    return wrk.format("POST", path)
    end
  • 실험 명령어:
    1
    wrk -t5 -c20 -d1s -s test_consume.lua http://localhost:8080
  • 실험 결과 요약:
    • 로그에서 동일 자원에 대해 여러 요청이 동시에 처리되며 자원의 남은 개수가 정확히 감소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다.
    • 이는 요청 간 자원 상태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고 동일한 초기 상태로 처리된 결과이다.
    • 예를 들어, 로그에서 “User 1 자원 1 사용, 남은 자원: 9”가 반복 출력되었으며, 이후 일부 요청만 자원이 감소된 상태를 올바르게 반영하였다.
  • 문제 분석:
    • 요청이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트랜잭션 커밋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요청이 동일 자원의 상태를 조회하고 처리하였다.
    • 이러한 동시성 이슈는 예시 코드에서 자원 접근 시 락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결과적으로, 여러 요청이 자원을 중복해서 처리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이 훼손되었다.

3. 문제 해결

  • 분산 락 설계:

    • RedissontryLock 메서드를 활용하여 특정 리소스에 대한 락을 획득한다.
    • 락 획득에 실패한 요청은 대기하거나 재시도하도록 구현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ostMapping("{userId}/consume")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onsumeResource(@PathVariable("userId") int userId) {
      String lockName = "user:" + userId + ":resource:lock";

      RLock lock = redissonClient.getLock(lockName);
      int remainingResources = 0;
      try {
      boolean isLocked = lock.tryLock(3, 10, TimeUnit.SECONDS);

      if (isLocked) {
      remainingResources = resourceService.consumeResource(userId);
      }
      } catch (RuntimeException |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Lock 획득 실패", e);
      } finally {
      if (lock.isHeldByCurrentThread()) { // 락 소유 여부 확인
      lock.unlock();
      }
      }

      return ResponseEntity.ok("자원 소비. 남은 자원: " + remainingResources);
      }
  • 락 해제 매커니즘:
    Redisson 내부적으로 락을 관리하고 해제하는 메커니즘은 Redis Pub/Sub 시스템과 AsyncSemaphore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Redisson tryLock() C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public boolean tryLock(long waitTime, long leaseTime, TimeUnit unit)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long time = unit.toMillis(waitTime);
    long current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threadId = Thread.currentThread().getId();
    // 1. 최초 락 획득 시도
    Long ttl = this.tryAcquire(waitTime, leaseTime, unit, threadId);
    if (ttl == null) {
    return true;
    } else {
    // 2. 타이머 갱신 및 대기
    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current;
    if (time <= 0L) {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return false;
    } else {
    current = System.currentTimeMillis();
    // 3. Pub/Sub 채널 구독
    CompletableFuture<RedissonLockEntry> subscribeFuture = this.subscribe(threadId);

    try {
    subscribeFuture.get(time, TimeUnit.MILLISECONDS);
    } catch (TimeoutException var21) {
    if (!subscribeFuture.completeExceptionally(new RedisTimeoutException("Unable to acquire subscription lock after " + time + "ms. Try to increase 'subscriptionsPerConnection' and/or 'subscriptionConnectionPoolSize' parameters."))) {
    subscribeFuture.whenComplete((res, ex) -> {
    if (ex == null) {
    this.unsubscribe(res, threadId);
    }

    });
    }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return false;
    } catch (ExecutionException var22) {
    ExecutionException e = var22;
    LOGGER.error(e.getMessage(), e);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return false;
    }

    try {
    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current;
    if (time <= 0L) {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boolean var25 = false;
    return var25;
    } else {
    boolean var16;
    do {
    long curren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ttl = this.tryAcquire(waitTime, leaseTime, unit, threadId);
    if (ttl == null) {
    var16 = true;
    return var16;
    }

    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currentTime;
    if (time <= 0L) {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var16 = false;
    return var16;
    }

    // 4. Latch 대기와 재시도
    curren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if (ttl >= 0L && ttl < time) {
    ((RedissonLockEntry)this.commandExecutor.getNow(subscribeFuture)).getLatch().tryAcquire(ttl, TimeUnit.MILLISECONDS);
    } else {
    ((RedissonLockEntry)this.commandExecutor.getNow(subscribeFuture)).getLatch().tryAcquire(time, TimeUnit.MILLISECONDS);
    }

    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 currentTime;
    } while(time > 0L);

    this.acquireFailed(waitTime, unit, threadId);
    var16 = false;
    return var16;
    }
    } finally {
    // 5. 구독 해제
    this.unsubscribe((RedissonLockEntry)this.commandExecutor.getNow(subscribeFuture), threadId);
    }
    }
    }
    }

    1. 최초 락 획득 시도

    • tryAcquire 메서드를 통해 락 획득 가능 여부를 확인하며, null을 반환하면 현재 락을 바로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락이 이미 선점된 경우, ttl(잠금의 남은 유효 시간)을 반환하여 대기할 시간을 계산한다.

    2. 타이머 갱신 및 대기

    • 대기 중 경과된 시간을 waitTime에서 차감하며 남은 시간이 0 이하일 경우 대기를 종료하고 false를 반환한다.

    3. Pub/Sub 채널 구독

    • 락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Redis Pub/Sub 채널에 구독을 요청한다.
    • subscribeFuture를 통해 락이 해제되었거나 구독에 실패한 경우 작업이 비동기적으로 처리된다.

    4. latch 대기와 재시도

    • Pub/Sub 채널 구독이 성공한 상태에서 tryAcquire를 반복 호출하며 락 획득을 재시도한다.
    • TTL 값에 따라 latch 대기 시간이 설정되며, 다른 스레드에서 락이 해제되면 latch가 해제되어 작업이 이어진다.

    5. 구독 해제

    • 락을 획득하든 못 하든 메서드를 종료하기 전에 Pub/Sub 구독 리소스를 해제하여 시스템 자원을 정리한다.

3.1. Redisson 적용 후 실험 결과:

  • 2.1. 실험과 동일한 script와 wrk 명령어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 실험 결과 요약:

    • Redisson을 사용하여 분산 락을 적용한 결과, 모든 요청이 순차적으로 처리되었으며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되었다.
    • 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일한 자원에 대해 락이 적용되어 요청이 병렬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처리되었다.
    • 예를 들어, “User 1 자원 1 사용, 남은 자원: 9”에서 시작하여 요청이 처리될 때마다 자원이 정확히 감소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 중에는 잘못된 자원 감소나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 문제 해결 확인:

    • Redisson의 분산 락을 적용함으로써 동시성 문제로 인한 데이터 무결성 훼손이 해결되었다.
    • 요청량이 많을 때에도 대기 상태로 처리되며 자원의 상태가 정확히 갱신되었다.

결과

  • 테스트 결과
    • Redisson 기반 분산 락을 적용한 후, 중복 트랜잭션 문제가 해결되었다.
    • 부하 테스트(wrk)에서 동일한 유저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 무결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 이로써 분산 서버 환경에서 발생하던 자원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논의

Pub/Sub 기반 락 메커니즘은 성능과 자원 활용면에서 유리하며, 이를 사용하는 Redisson을 사용하여 분산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시성 제어가 가능하지만,
Redis를 따로 구축하여야 한다는 점, Redis의 장애 시 락 메커니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락 해제 실패 또는 락 대기 시간 초과 시 추가적 오류 처리가 필요하다는 한계점 등이 존재한다.
해당 한계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이후에 Redis Cluster를 활용해 고가용성을 확보하여야하고, Redis 외에 기타 다른 도구(Zookeeper, Etcd 등)와의 성능 비교가 필요하다.

결론

본 글에서는 Redis와 Redisson을 활용한 분산 락 메커니즘을 통해 동시성 이슈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데이터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부하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글이 분산 환경에서의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길 기대하며, 본 글에서 사용된 tryLock()의 내부 작동원리는 동시성 제어를 위한 Redisson tryLock 메서드의 작동 원리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댓글 공유

  • page 1 of 1

Junggu Ji

author.bio


author.j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