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토이프로젝트 중 @Reqeust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DTO에서 boolean 데이터를 제대로 전달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정리한다.


문제 발생

vue.js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DTO 객체로 전달 받으려 하였는데 boolean 타입의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넘어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문제가 발생한 Test C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Test
public void dto_boolean_test() throws Exception {
//given
RequestDTO dto = RequestDTO.builder()
.isTestCase(true)
.isNQuantity(true)
.isSpaceIncludeNumber(true)
.build();

String test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dto);

System.out.println(test);
final ResultActions action = mockMvc.perform(post("/frame")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test))
.andDo(print());

//then
MvcResult result = action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json(test))
.andReturn();
}

에러 결과


원인

You can annotate any field with @Getter and/or @Setter, to let lombok generate the default getter/setter automatically.
A default getter simply returns the field, and is named getFoo if the field is called foo (or isFoo if the field’s type is boolean).

위 설명처럼 lombok에서 제공하는 @Getter 혹은 @Setter 어노테이션을 사용 할 경우 자동으로 getter/setter 메서드를 생성해주는데
이 때 boolean 타입의 변수에 붙는 prefix는 get이 아닌 is이므로 @RequestBody에서 찾을 수 없어 바인딩 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였다.

실패한 코드

이 처럼 boolean 변수에 is prefix를 붙여놓은 상태에서 @Gett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니, 내부적으로 isIsTestCase() 같은 이상한 네이밍의 메서드가 생성되서
@RequestBody에서 바인딩에 사용하는 Jackson 라이브러리의 ObjectMapper에서 필드를 찾을 수 없어서 바인딩 되지 않아 DTO에 정상적으로 값이 입력되지 않았던 것이다.

By default Jackson maps the fields of a JSON object to fields in a Java object by matching the names of the JSON field to the getter and setter methods in the Java object. Jackson removes the “get” and “set” part of the names of the getter and setter methods, and converts the first character of the remaining name to lowercase.


해결

  1. boolean 변수명에서 is prefix를 제거한다.
  2. default로 false로 되어 있는 lombok.getter.noIsPrefix=true 설정을 추가한다.
    이 설정을 추가하면 boolean 변수도 get prefix를 사용한다.

필자는 boolean 변수에서 is prefix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처리했다.
다른 타입은 자료형에 따라 prefix를 붙이지 않는 상황에서 boolean 변수에만 붙이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1번을 선택했다.

수정된 코드

결과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8870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r.readLine();
Integer[] array = convertStringArrayToIntegerArray(br.readLine().split(" "));
List<Integer> list = Arrays.asList(array.clone());

Collections.sort(list);

Map<Integer, Integer> map = new HashMap<>();
int index = 0;
for (int i : list) {
if (!map.containsKey(i)) {
map.put(i, index++);
}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array) {
sb.append(map.get(i)).append(" ");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private static Integer[] convertStringArrayToIntegerArray(String[] args) {
Integer[] array = new Integer[args.length];
int i = 0;
for (String str : args) {
array[i++] = Integer.parseInt(str);
}

return array;
}

흐름

  1. 입력받은 좌표를 저장한 리스트로 수정하면 출력 순서를 맞출 수 없으니 우선 좌표 list를 복사한다.
  2. 복사한 list를 정렬하고 순서대로 반복하면서 좌표값을 key로 index를 저장한다.
    1. {-10 : 0}, {-9, 1}… {4,4}
  3. 입력받은 좌표를 순서대로 반복하면서 map에 key로 index를 가져온다.

좌표 압축의 이유

좌표 {2 4 -10 4 -9} 압축 전
좌표 {2 4 -10 4 -9} 압축 후
  • 문제의 예제인 좌표 {2 4 -10 4 -9}을 위와 같은 알고리즘으로 압축하면 {2 3 0 3 1}이 되는데 위 그림 처럼 압축된 점들도 같은 동일선상 안에 놓이게 된다.
  • 이렇게 범위가 매우 넓은 좌표의 경우에 좌표를 인덱싱해서 처리 할 경우 손쉽게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결과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406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char[] input = br.readLine().toCharArray();

LinkedList<Character> list = new LinkedList<>();
for (char c : input) {
list.add(c);
}

ListIterator<Character> it = list.listIterator();
while (it.hasNext()) {
it.next();
}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while (n-- > 0) {
String command = br.readLine();

switch (command) {
case "L" :
if (it.hasPrevious()) {
it.previous();
}
break;
case "D" :
if (it.hasNext()) {
it.next();
}
break;
case "B" :
if (it.hasPrevious() && !list.isEmpty()) {
it.previous();
it.remove();
}
break;
default:
it.add(command.charAt(2));
break;
}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char c : list) {
sb.append(c);
}

System.out.println(sb);
}
  • 이 문제는 로직보다 걸리는 시간이 문제였다.
  • 처음엔 LinkedList를 그대로 사용해 add, remove를 했지만 시간초과로 인해 ListIterator을 이용해 해결했다.

ListIterator

  • List를 양방향으로 탐색하고, 루프 중에 리스트를 수정하고, 리스트에서 현재 위치를 가져올 수 있다.
  • 커서는 previous()로 리턴되는 원소와 next()로 리턴되는 원소 사이에 존재한다.
1
2
                    Element(0)   Element(1)   Element(2)   ... Element(n-1)
cursor positions: ^ ^ ^ ^ ^
  • remove()와 set()를 호출해도 커서의 위치는 움직이지 않는다.
  • remove() 호출 시 next()혹은 preivous()에 의해 리턴된 마지막 요소를 리스트에서 제거한다.
1
2
3
4
5
6
case "B" :
if (it.hasPrevious() && !list.isEmpty()) {
it.previous();
it.remove();
}
break;

결과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m = convertStringArrayToIntegerArray(br.readLine().split(" "));
int n = nm[0];
int m = nm[1];

boolean[][] graph = new boolean[n+1][n+1];
while (m-- > 0) {
int[] xy = convertStringArrayToIntegerArray(br.readLine().split(" "));

graph[xy[0]][xy[1]] = true;
graph[xy[1]][xy[0]] = true;
}

int answer = 0;

boolean[] isVisit = new boolean[n+1];
for (int i = 1; i < graph.length; i++) {
if (!isVisit[i]) {
answer += bfs(isVisit, graph, i);
}
}

System.out.println(answer);
}

private static int[] convertStringArrayToIntegerArray(String[] args) {
int[] array = new int[args.length];
int i = 0;
for (String str : args) {
array[i++] = Integer.parseInt(str);
}

return array;
}

private static int bfs(boolean[] isVisit, boolean[][] graph,int startIndex) {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queue.offer(startIndex);
isVisit[startIndex] = true;

while (!queue.isEmpty()) {
int x = queue.poll();

for (int i = 1; i < isVisit.length; i++) {
if (isVisit[i]) {
continue;
}

if (graph[x][i]) {
queue.offer(i);
isVisit[i] = true;
}
}
}

return 1;
}

흐름

  1.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인접행렬로 만들기 위해 정점의 개수 + n한 크기의 2차원 배열을 만들고,
  2. 이 문제에서 그래프는 방향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기 때문에 a->b로 가는 간선이 있으면 b->a로 가는 간선도 있는 것이므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에 저장한다.
  3. 이후 정점의 개수만큼 루프 돌면서 연결요소의 개수를 구하는데 아직 간선이 연결되지 않은 정점일 경우에만 BFS 탐색을 통해 탐색한다.
  4. queue를 이용해 bfs를 구현하는데 우선 탐색이 시작되는 정점의 index를 queue에 저장하고, isVisit[] 변수에도 true로 해당 index를 탐색했다고 저장한다.
  5. queue가 빌 때 까지 반복하면서 queue에 저장된 index를 poll한다.
  6. 정점의 개수 만큼 반복하면서 이미 연결된 정점이면 넘어가고
  7. 아직 연결되지 않은 정점이면서 다른 정점과 연결된 정점이면 queue에 해당 index를 저장하고, 방문했으니 true도 저장한다.
  8. queue가 비어 루프가 종료되면 연결 요소 하나가 완성된 것이므로 1을 return 하고 bfs를 종료한다.
  9. return된 1들을 저장해 모든 정점을 탐색 후 종료한다.

결과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5525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br.readLine();

int answer = solution(n, br.readLine());

System.out.println(answer);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 String target) {
int answer = 0;

char[] s = target.toCharArray();
char[] targetString = getTargetString(n).toCharArray();
int[] fail = failFunction(targetString);

int start = 0;
int m = 0;

while (start <= s.length - targetString.length) {
if (m < targetString.length && s[start + m] == targetString[m]) {
++m;
if (m == targetString.length) {
answer++;
}
} else {
if (m == 0) {
start++;
} else {
start += (m - fail[m - 1]);
m = fail[m - 1];
}
}
}

return answer;
}

private static String getTargetString(int n)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I");

while (n-- > 0) {
sb.append("OI");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int[] failFunction(char[] target) {
int n = target.length;
int[] fail = new int[n];

int start = 1;
int m = 0;

while (start + m < n) {
if (target[start + m] == target[m]) {
m++;
fail[start + m - 1] = m;
} else {
if (m == 0) {
start++;
} else {
start += (m - fail[m - 1]);
m = fail[m - 1];
}
}
}

return fail;
}

흐름

  1. S에서 찾을 문자열(targetString)을 만든다.
  2. 찾을 문자열에서 실패함수 값을 구한다.
  3. 배열의 범위를 벗어나기 전까지 반복한다.
  4. 검색 할 문자열 s에서 찾을 단어을 한 문자씩 비교한다.
  5. 한 문자가 같으면, 그 다음 문자를 비교 할 수 있게 m을 1씩 더해서 최종적으로 문자열에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answer를 증가시킨다.
  6. 문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1. m이 0이면 시작도 못해본거니깐 검색 할 문자열에서 한 문자 뒤로 간다.
      ex) S = ABCDEF 일 경우, B부터 검색하도록 start를 증가
    2. 0이 아니면 단어에서 어느정도 일치한 문자열이 존재한 것이므로 비교 시작 할 문자의 index를 m에서 실패함수 값을 빼서 구한다.
    3. 일치한 문자열 뒤 부터 검색하면 되므로 m도 실패함수 값에서 구한다.
  7. 반복이 끝나면 answer 값을 return 한다.
  8. 끝.

KMP 알고리즘 해설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을 찾아내는 문자열 검색 알고리즘

위키백과
  • 비교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
  • 문자열 S = OOIOIIOIOIOIOIOIOIOIOOIOI 에서 패턴 M = IOIOI 를 찾는다고 가정
  • 우선 패턴 M의 실패함수를 구하기 위해 IOIOI에서 접두사와 접미사의 길이가 가장 긴 부분을 구한다.

실패함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private static int[] failFunction(char[] target) {
int n = target.length;
int[] fail = new int[n];

int start = 1;
int m = 0;

while (start + m < n) {
if (target[start + m] == target[m]) {
m++;
fail[start + m - 1] = m;
} else {
if (m == 0) {
start++;
} else {
start += (m - fail[m - 1]);
m = fail[m - 1];
}
}
}

return fail;
}
  1. IOIOI 패턴에서 index 1에 저장된 ‘O’와 0에 저장된 ‘I’는 같지 않으므로 비교가 시작되는 위치를 1 증가 시킨다. (현재 start = 2, m = 0)
  2. 루프에 의해 다시 비교하면 2에 저장된 ‘I’와 0에 저장된 ‘O’는 같으니 m을 증가시키고 접두사와 접미사가 일치한 값인 m를 저장한다. (현재 start = 2, m = 1)
    1. IOIOI에서 IOI까지 진행한 상태에서 I와 I가 일치 했으므로 길이 1이 일치한 것
  3. 3에 저장된 ‘O’과 1에 저장된 ‘O’가 같으므로, 다시 m을 1 증가 시키고 접두사와 접미사가 일치한 값인 m을 저장한다. (현재 start = 2, m = 2)
    1. IOIOI에서 IOIO까지 진행한 상태에서 ‘IO’와 ‘IO’가 같으므로 길이 2가 일치한 것
  4. 4에 저장된 ‘I’과 2에 저장된 ‘I’가 같으므로, 다시 m을 1 증가 시키고 접두사와 접미사가 일치한 값인 m을 저장한다. (현재 start = 2, m = 3)
    1. IOIOI는 접두사 ‘IOI’와 ‘IOI’의 길이가 3이므로 3
  5. array return

KMP 알고리즘

  • 실패함수 값 구하는 것과 동일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 String target) {
int answer = 0;

char[] s = target.toCharArray();
char[] targetString = getTargetString(n).toCharArray();
int[] fail = failFunction(targetString);

int start = 0;
int m = 0;

while (start <= s.length - targetString.length) {
if (m < targetString.length && s[start + m] == targetString[m]) {
++m;
if (m == targetString.length) {
answer++;
}
} else {
if (m == 0) {
start++;
} else {
start += (m - fail[m - 1]);
m = fail[m - 1];
}
}
}

return answer;
}
  • 실패함수 array [0, 0, 1, 2, 3]
  1. m이 패턴의 길이보다 작고, 문자열 s(OOIOIIOIOIOIOIOIOIOIOOIOI) 에서 start+m 한 index의 문자와 비교할 패턴(IOIOI)의 m 번째 문자가 같지 않으므로 s에서 비교가 시작되는 위치를 1 증가 시킨다. (현재 start = 1, m = 0)
  2. S의 1와 패턴의 0을 비교해도 여전히 같지 않으므로 시작 위치를 또 증가 시킨다. (start = 2, m = 0)
  3. S의 2와 패턴의 0을 비교하면 둘다 ‘I’로 같으므로 m을 증가 시키고 패턴의 길이와 같을 때 까지 반복한다. (start = 2, m = 1)
  4. S의 3와 패턴의 1을 비교하면 둘다 ‘O’로 같으므로 m을 증가 시키고 패턴의 길이와 같을 때 까지 반복한다. (start = 2, m = 2)
  5. S의 4와 패턴의 2을 비교하면 둘다 ‘I’로 같으므로 m을 증가 시키고 패턴의 길이와 같을 때 까지 반복한다. (start = 2, m = 3)
  6. S의 5와 패턴의 3을 비교하면 같지 않고 이제 m이 0이 아니므로,
  7. s의 시작 위치를 증가 시켜야 하는데 1을 증가 시키는게 아니라 이전에 구한 실패 함수 값에서 찾아온다.
    1. (m(3) - 실패함수 값 array[m(3) - 1]) = 2
    2. 즉 현재 시작 위치에서 1을 더한 값이 아닌 2를 더한다.
    3. 이미 index 4까지는 접두사 접미사가 2 자리까지 같기 때문에
  8. m 역시 실패함수 값을 가져온다.
    1. IOIOI에서 IOIO까지 비교한 값에서 실패했기 떄문에
    2. 그 이전 접미사 접두사 길이만큼으로 비교한다.
  9. 이 시점에서 start = 4, m = 1이 되고 루프를 반복한다.
  10. 4와 1은 같지 않으므로 다시 7번부터 8번까지 반복해서 start와 m을 조정한다.
    1. 이 예제로 하면 처음부터 같지 않았으므로 start는 한칸만 뒤로 가고
    2. m 역시 접두사 접미사 1 짜리도 실패했으므로 처음부터 비교한다.
    3. (start = 5, m = 0)
  11. (5, 0), (6, 1), (7, 2), (8, 3), (9, 4) 이 쭉~ 같으므로 드디어 문자열 s에서 패턴을 찾은 것이므로 answer을 증가 시킨다.
  12. 그 이후로 다시 비교하면 m의 길이가 패턴의 길이를 넘어 갔으므로,
  13. start와 m의 위치를 다시 조정한다.
  14. 반복
  15. 끝.
  • 결국 정리하면, 처음 말한 것 처럼 이미 비교한 값은 다시 비교하지 않고 그 다음 부터 비교하는 방식으로 시간을 줄인다.
  • 더 자세한 설명들은 글 마지막 참고 사이트를 찾아가면 다른 분들이 매우 자세하게 설명해주시고 계신다.

결과


테스트 케이스

1
2
3
assertEquals(4, test.solution(1, "OOIOIOIOIIOII"));
assertEquals(6, test.solution(2, "OOIOIIOIOIOIOIOIOIOIOOIOI"));
assertEquals(7, test.solution(1, "IOIOIOIOIOIOIOI"));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결론

  • 프로세스(Process)란 메모리 위에 올라와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각각의 프로세스는 모두 독립적인 상태이고 Os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은 작업의 단위.
  • 스레드(Thread)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수행 단위로 각각의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면서 스레드간 메모리를 공유하며 작동한다.

작동 방식

프로세스

OS에서 자원을 할당받은 프로세스들 (이미지 출처: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14/process-vs-thread.html)
  • 프로세스는 OS로부터 Code, Data, Stack, Heap으로 이루어진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 받는다.
  • 각각 독립된 영역을 할당 받으므로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들 간에는 다른 프로세스의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 할 수 없으며 서로 간 통신을 위해선 커널 영역에 IPC를 이용해 프로세스간 통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스 내 메모리 구조

  1. Code 영역 : 프로그램에서 수행 할 코드가 로딩 되는 메모리
  2. Data 영역 :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 생성되고, 종료 될 때 시스템에 반환되며 BBS와 Data영역으로 나뉘는데 BBS엔 초기화 되지 않은 변수를 위한 영역이고, Data는 초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3. Heap 영역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에 의해 동적으로 사요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대표적으로 C언어의 malloc함수를 이용해 메모리를 할당한다면 이 영역에 할당되고 Java의 Object 타입들은 heap 영역에 생성된다.
  4. Stack 영역 :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사용하는 임시 메모리 영역으로 지연벽수, 파라미터, 리턴 값 등 잠시 사용됐다가 사라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함수 호출 시 생성되고 함수가 끝나면 반환된다. 예로 메서드 내에서 선언한 지역 변수는 Stack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메서드가 끝날 때 함께 사라지므로 다른 메서드에서 호출 할 수 없다.

스레드

프로세스에서 자원을 할당받은 스레드들 (이미지 출처: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14/process-vs-thread.html)
  •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부에 존재하고 Stack 영역만 각 스레드마다 독립적으로 할당 받고 그 외에 프로세스 영역에 있는 code, data, heap 영역은 프로세스 내에 있는 스레드 끼리 공유한다.
  • 때문에 한 스레드에서 공유된 영역의 자원을 수정한다면 다른 스레드에서 그 자원을 사용 할 때 변경된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
  • 결국 개발자가 자원을 동기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처리 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세스 내 자원을 함께 공유하기 때문에 모든 자원을 각각 독립되게 할당 받은 프로세스와 달리 같은 프로세스 내의 스레드가 문제가 생긴다면 다른 스레드들도 강제로 종료되게 된다.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결론

  • Synchronous, Asynchronous 는 두 개 이상의 대상에 대한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이고,
  • Blocking, Non-Blocking 은 직접 제어 할 수 없는 대상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Synchronous, Asynchronous

  • 두 개 이상의 대상들의 시간을 처리하는 방식
  • Synchronous는 두 개 이상의 대상들의 시간을 일치 시키는 것 으로 메서드가 종료되는 시간과 결과를 전달받은 시간이 일치하면 Synchronous(동기) 방식이다.
  • Asynchronous는 두 개 이상의 대상들의 시간을 일치 시키지 않는 것 으로 메서드가 종료되는 시간과 결과를 전달받은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Asynchronous(비동기) 방식이다.

Blocking, Non-Blocking

  • 직접 제어 할 수 없는 대상에 대한 처리 방식
  • Blocking은 직접 제어 할 수 없는 대상이 작업이 끝날 때 까지 제어권을 넘기지 않아 작업이 끝날 때 까지 대기 하는 방식이다.
  • Non-Blocking은 직접 제어 할 수 없는 대상의 작업의 종료와 관계없이 제어권을 바로 다시 얻어와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본론

Synchronous

우선 Synchronous의 뜻을 사전에선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동시 발생하는

네이버 어학사전

이 처럼 두 개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발생시키거나, 동시에 종료시키는 행동을 말한다.

동기 방식을 사용 할 경우 메서드를 호출 했을 때, 결과를 호출한 쪽에서 스스로 확인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결과를 처리 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결과를 전달받고 메서드를 종료 시킨다.

간단히 요약하면 메서드를 호출하면 그 메서드가 종료되는 시간과 결과가 return 되는 시간이 같다는 것으로, 메서드가 종료되는 시간과 결과가 return 되는 시간이 같으므로 동기 방식이라 말한다.

혹은, 2개 이상의 일을 각각 실행시켜 A가 끝나는 시간과 B가 시작하는 시간이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기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Java로 예를 들면 쓰레드를 동기 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synchronized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일부러 설정하지 않는 한 보통의 메서드 호출은 모두 동기 방식으로 사용된다.

Asynchronous

Asynchronous, 비동기 방식은 부정형 접두사 A를 붙여서 두 개 이상의 대상의 시간을 일치 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동기 방식과 반대로 동작한다.

즉, 메서드를 호출 했을 때 결과가 return되지 않더라도 다른 작업을 수행하거나 메서드를 종료하고 나중에 처리되면 그 때 결과물을 가져온다.

이 때 메서드를 호출한 시간과 return된 결과를 받은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방식을 비동기 방식이라 한다.

보통 ajax를 통해 많이 사용 해봤을 것이고, Java에선 쓰레드를 활용해 비동기적으로 처리 할 수 있고, Spring에선 @Async Annotation을 이용해 비동기 방식을 처리 할 수 있다.

Blocking

결론에서 말한 것 처럼 Blocking은 직접 제어 할 수 없는 대상이 작업이 끝날 때 까지 제어권을 넘기지 않아 작업이 끝날 때 까지 대기하게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의 SCV는 한번 건물을 짓기 시작하면 건설이 끝날 때 까지 다른 동작을 할 수 없으므로, Blocking 상태라고 할 수 있고, Java에선 System.in 같은 I/O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Non-Blocking

Blocking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작업의 처리 여부와 상관없이 작업을 호출한 쪽이 다시 제어권을 가져와서 자유롭게 다른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을 Non-Blocking 방식이라고 한다.

마찬가지의 예로 프로토스의 프로브는 건물을 짓게 하면 차원 균열만 개방하고 바로 미네라를 캐는 등의 다른 일을 수행 할 수 있으므로 프로브는 Non-Blocking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서플라이디포를 건설 하는 동안 다른 행위를 할 수 없는 SCV
첫 번째 파일럿을 소환 후 파일럿이 완성되기 전에 두 번째 파일럿을 소환 할 수 있는 프로브

참고 사이트

댓글 공유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751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try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int amount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amount; i++) {
list.add(Integer.parseInt(br.readLine()));
}

Collections.sort(lis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list) {
sb.append(i).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Arrays.sort(int[]) vs Arrays.sort(Object[]) and Collections.sort(List)

Arrays.sort(int[])

  • DualPivotQuicksort라는 피벗을 두 개를 정해 구간을 3개로 하는 퀵소트를 사용한다.
  • API에 따르면 이 때 평균 O(n log(n)) 성능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기존 (one-pivot) 쿽소트 보다 빠르다고 한다.
  • 하지만 여전히 최악의 경우 O(n^2)인 것은 여전하다.

Arrays.sort(Object[]) and Collections.sort(List)

  • java.util.Arrays.useLegacyMergeSort 설정에 따라 true면 legacyMergeSort를 통해 Merge sort로 정렬하고 false면 TimeSort를 통해 Tim sort로 정렬한다.
  • 이 때 기본적으로 java.util.Arrays.useLegacyMergeSort 설정은 false로 지정되어 있다.
  • Tim sort는 Insertion sort와 Merge sort를 결합하여 만든 정렬로 최선의 경우 O(n), 평균적으로 O(n log(n)), 최악의 경우 O(n log(n))의 성능을 제공한다.
  • Tim sort에 대한 자세한 설명

java.util.Arrays.useLegacyMergeSort 확인

1
2
3
4
5
6
7
8
9
10
...

static final class LegacyMergeSort {
private static final boolean userRequested =
java.security.AccessController.doPrivileged(
new sun.security.action.GetBooleanAction(
"java.util.Arrays.useLegacyMergeSort")).booleanValue();
}

...
  • new sun.security.action.GetBooleanAction(“java.util.Arrays.useLegacyMergeSort”)).booleanValue(); 를 sysout으로 출력해보면 false가 return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


댓글 공유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3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 String[] musicinfos) {
String answer = "(None)";

m = getSharpReplace(m);

int maxPlayTime = 0;

for (String music : musicinfos) {
String[] info = music.split(",");

int playTimeToMinute = getPlayTime(info[0], info[1]);
String melody = getMelody(playTimeToMinute, info[3]);

if (melody.contains(m)) {
if (maxPlayTime < playTimeToMinute) {
answer = info[2];
maxPlayTime = playTimeToMinute;
}
}
}

return answer;
}

private String getSharpReplace(String arg) {
return arg.replace("C#", "1")
.replace("D#", "2")
.replace("E#", "3")
.replace("F#", "4")
.replace("G#", "5")
.replace("A#", "6");
}

private int getPlayTime(String start, String end) {
LocalTime startTime = convertLocalTime(start);
LocalTime endTime = convertLocalTime(end);

LocalTime playTime = endTime.minusHours(startTime.getHour()).minusMinutes(startTime.getMinute());

return playTime.getHour() * 60 + playTime.getMinute();
}

private LocalTime convertLocalTime(String time) {
String[] hourAndMinute = time.split(":");

return LocalTime.of(Integer.parseInt(hourAndMinute[0]), Integer.parseInt(hourAndMinute[1]), 0);
}

private String getMelody(int playtime, String melody) {
String sharpReplaceMelody = getSharpReplace(melody);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char[] array = sharpReplaceMelody.toCharArray();
for (int i = 0; i < playtime; i++) {
sb.append(array[i % sharpReplaceMelody.length()]);
}

return sb.toString();
}

흐름

  1. “#”이 붙은 음계들을 유일한 값으로 치환한다.
  2. 곡 정보를 담은 musicinfos의 개수만큼 반복한다.
  3. 돌면서 “,”로 잘라 시작시간, 끝난시간, 곡 이름, 멜로디 순으로 구분하여 String array에 저장한다.
  4. 시작 시간과 끝난 시간을 LocalTime type으로 만들어서 끝난 시간에서 시작 시간을 빼서 얼마나 오래 방송 됐는지 playTime을 구한다.
  5. 곡 정보에 있는 멜로디에서도 “#”이 붙은 음계들을 1번에서 한 것과 같은 값으로 치환한다.
  6. playtime에 따라 멜로디에 음계를 추가하기 위해 멜로디를 char array로 변경한다.
  7. playtime 만큼 반복하면서 멜로디를 만든다.
    1. playtime보다 멜로디가 짧은 경우엔 지금 멜로디에 음계를 이어 붙여 playtime 길이 만큼 만든다.
    2. 멜로디가 더 긴 경우엔 playtime 만큼 자른다.
  8. 이렇게 구한 멜로디에 기억 중인 멜로디 m이 포함된다면 playtime이 가장 긴지 확인하고 곡 정보를 저장한다.
  9. 끝.

결과

번호 속도
테스트 1 통과 (1.31ms, 54.1MB)
테스트 2 통과 (1.38ms, 52.7MB)
테스트 3 통과 (3.19ms, 52.6MB)
테스트 4 통과 (1.33ms, 51.7MB)
테스트 5 통과 (1.44ms, 52.7MB)
테스트 6 통과 (1.42ms, 52.2MB)
테스트 7 통과 (2.26ms, 52.7MB)
테스트 8 통과 (2.27ms, 53.3MB)
테스트 9 통과 (2.38ms, 52.5MB)
테스트 10 통과 (2.31ms, 52MB)
테스트 11 통과 (2.24ms, 53.4MB)
테스트 12 통과 (2.03ms, 53.2MB)
테스트 13 통과 (2.27ms, 53.2MB)
테스트 14 통과 (2.23ms, 52.2MB)
테스트 15 통과 (2.19ms, 53.2MB)
테스트 16 통과 (2.22ms, 52.1MB)
테스트 17 통과 (1.78ms, 52.4MB)
테스트 18 통과 (2.22ms, 53MB)
테스트 19 통과 (2.66ms, 52.5MB)
테스트 20 통과 (2.42ms, 52.1MB)
테스트 21 통과 (2.41ms, 52.3MB)
테스트 22 통과 (3.55ms, 52.9MB)
테스트 23 통과 (3.94ms, 53.2MB)
테스트 24 통과 (2.15ms, 51.9MB)
테스트 25 통과 (1.24ms, 52.3MB)
테스트 26 통과 (1.30ms, 53.2MB)
테스트 27 통과 (1.41ms, 52.6MB)
테스트 28 통과 (1.12ms, 53.1MB)
테스트 29 통과 (12.67ms, 53.4MB)
테스트 30 통과 (13.24ms, 53.1MB)

테스트 케이스

1
2
3
4
5
assertEquals("HELLO", test.solution("ABCDEFG", new String[]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assertEquals("FOO", test.solution("CC#BCC#BCC#BCC#B", new String[] {"03:00,03:30,FOO,CC#B", "04:00,04:08,BAR,CC#BCC#BCC#B"}));
assertEquals("WORLD", test.solution("ABC", new String[] {"12:00,12:14,HELLO,C#DEFGAB", "13:00,13:05,WORLD,ABCDEF"}));
assertEquals("(None)", test.solution("CDEFGAC", new String[] {"12:00,12:06,HELLO,CDEFGA"}));
assertEquals("FOO", test.solution("CCB", new String[] {"03:00,03:10,FOO,CCB#CCB", "04:00,04:08,BAR,ABC"}));

댓글 공유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6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files) {

List<File> file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files.length; i++) {
char[] array = files[i].toCharArray();

String originName = files[i];
String head = "";
Integer number = 0;

boolean isString = true;
int numberStartIndex = 0;
for (int j = 0; j < array.length; j++) {
if (isString && isNumber(array[j])) {
head = new String(array, 0, j).toUpperCase();
numberStartIndex = j;
isString = false;
continue;
}

if (!isString && !isNumber(array[j])) {
number = Integer.parseInt(new String(array, numberStartIndex, j - numberStartIndex));
isString = true;
break;
}
}

if (!isString) {
number = Integer.parseInt(new String(array, numberStartIndex, array.length - numberStartIndex));
}

fileList.add(new File(originName, head, number, i));
}

sort(fileList);

return fileList.stream()
.map(File::getOriginName)
.toArray(String[]::new);
}

private void sort(List<File> fileList) {
fileList.sort((f1, f2) -> {
if (f1.head.compareTo(f2.head) != 0) {
return f1.head.compareTo(f2.head);
} else if (f1.number.compareTo(f2.number) != 0) {
return f1.number.compareTo(f2.number);
} else {
return f1.index.compareTo(f2.index);
}
});
}

private boolean isNumber(char ch) {
return (48 <= ch && ch <= 57);
}

static class File {
private final String originName;
private final String head;
private final Integer number;
private final Integer index;

public File(String originName, String head, Integer number, Integer index) {
this.originName = originName;
this.head = head;
this.number = number;
this.index = index;
}

public String getOriginName() {
return this.originName;
}

public String getHead() {
return this.head;
}

public Integer getNumber() {
return this.number;
}

public Integer getIndex() {
return this.index;
}
}

흐름

  1. file 개수만큼 반복하면서 파일명을 char array로 만든다.
  2. char array를 숫자가 나올 때 까지 반복한다.
  3. 숫자가 나오면 0부터 숫자가 나온 index까지 짤라서 head 변수에 저장시키고 숫자가 시작된 index와 다음에 숫자인지 체크 할 flag 변수를 false로 변경한다.
  4. head를 만들고 난 후엔 숫자만 뽑아서 number로 저장해야 하므로
  5. 돌면서 현재 문자가 아니고 지금 값도 숫자가 아니면 지금 index까지 잘라서 number에 저장한다.
  6. 만약 tail이 없어서 이번 조건문에 걸리지 않았다면, 숫자가 시직된 index부터 array 길이에서 숫자가 시작된 index를 뺀 크기 만큼 잘라서 number에 저장한다.
  7. 구한 head, number를 가지고 원래 파일명, head, number, 원래 순서를 갖는 File Object를 생성하고 List에 추가한다.
  8. 리스트를 문제의 제약조건 처럼 정렬한다.
    1. head로 비교해서 정렬
    2. head가 같으면 number로 비교해서 정렬
    3. 둘 다 같으면 원래 순서대로 정렬
  9. 정렬한 List를 String[]로 만들어서 return 한다.

결과

번호 속도
테스트 1 통과 (2.80ms, 52.3MB)
테스트 2 통과 (2.92ms, 52.8MB)
테스트 3 통과 (15.41ms, 54.1MB)
테스트 4 통과 (17.89ms, 54.3MB)
테스트 5 통과 (16.74ms, 54.3MB)
테스트 6 통과 (15.07ms, 53.3MB)
테스트 7 통과 (21.21ms, 54.5MB)
테스트 8 통과 (21.20ms, 53.8MB)
테스트 9 통과 (17.57ms, 53.6MB)
테스트 10 통과 (20.00ms, 53.5MB)
테스트 11 통과 (15.30ms, 53.8MB)
테스트 12 통과 (14.44ms, 54.1MB)
테스트 13 통과 (10.24ms, 53.8MB)
테스트 14 통과 (12.50ms, 54.1MB)
테스트 15 통과 (18.61ms, 54.1MB)
테스트 16 통과 (20.40ms, 53.9MB)
테스트 17 통과 (10.36ms, 53.8MB)
테스트 18 통과 (13.84ms, 54.6MB)
테스트 19 통과 (16.07ms, 54.4MB)
테스트 20 통과 (14.91ms, 53.8MB)


정렬을 stream에 추가 할 경우

stream sorted

1
2
3
4
5
6
return fileList.stream()
.sorted(Comparator.comparing(File::getHead)
.thenComparing(Comparator.comparing(File::getNumber)
.thenComparing(File::getIndex)))
.map(File::getOriginName)
.toArray(String[]::new);

결과

번호 속도
테스트 1 통과 (10.64ms, 53.2MB)
테스트 2 통과 (18.65ms, 53.2MB)
테스트 3 통과 (25.96ms, 54.7MB)
테스트 4 통과 (24.73ms, 54.8MB)
테스트 5 통과 (20.97ms, 54.3MB)
테스트 6 통과 (29.57ms, 54.3MB)
테스트 7 통과 (30.45ms, 54.3MB)
테스트 8 통과 (24.91ms, 54.3MB)
테스트 9 통과 (26.40ms, 54.8MB)
테스트 10 통과 (28.88ms, 54.1MB)
테스트 11 통과 (22.73ms, 54.7MB)
테스트 12 통과 (25.60ms, 54.4MB)
테스트 13 통과 (22.06ms, 54.2MB)
테스트 14 통과 (19.49ms, 54.9MB)
테스트 15 통과 (17.53ms, 54.2MB)
테스트 16 통과 (20.05ms, 54.1MB)
테스트 17 통과 (18.01ms, 54.7MB)
테스트 18 통과 (18.53ms, 53.7MB)
테스트 19 통과 (26.25ms, 54.2MB)
테스트 20 통과 (20.81ms, 55.2MB)

테스트 케이스

1
2
3
4
5
assertArrayEquals(new String[] {"img1.png", "IMG01.GIF", "img02.png", "img2.JPG", "img10.png", "img12.png"}, test.solution(new String[] {"img12.png", "img10.png", "img02.png", "img1.png", "IMG01.GIF", "img2.JPG"}));
assertArrayEquals(new String[] {"A-10 Thunderbolt II", "B-50 Superfortress", "F-5 Freedom Fighter", "F-14 Tomcat"}, test.solution(new String[] {"F-5 Freedom Fighter", "B-50 Superfortress", "A-10 Thunderbolt II", "F-14 Tomcat"}));
assertArrayEquals(new String[] {"img100.p2ng", "img202.png123"}, test.solution(new String[] {"img202.png123", "img100.p2ng"}));
assertArrayEquals(new String[] {"foo010bar020.zip", "foo010bar030.zip"}, test.solution(new String[] {"foo010bar020.zip", "foo010bar030.zip"}));
assertArrayEquals(new String[] {"F-15", "F-17", "F-22"}, test.solution(new String[] {"F-22", "F-17", "F-15"}));

댓글 공유

Junggu Ji

author.bio


author.job